처음에는 무엇으로 푸시 알림을 보낼 지 고민한 끝에 이 글을 읽고 FCM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. 플러터에서 사용해본 경험이 있고, 무료라는 점이 가장 큰 이유였다. 파이어베이스 설정1. 프로젝트 만들기 위의 버튼을 누르고, 프로젝트 이름을 넣고 생성하면 된다. 2. 앱 추가만들고 있는 앱을 추가하여 시작하면 된다.앱 등록을 위해 Android 패키지 이름에 프론트 패키지 이름을 넣는다. 여기서 주어지는 `google.services.json` 파일은 프론트 쪽에 넣어주면 된다. 자바로 설정 3. 비공개 키 다운로드프로젝트 설정 → 서비스 계정새 비공개 키 생성 → `resources` 폴더에 넣기 (`.gitignore`에 추가)코드의존성 추가implementation 'com.google.fireb..
프로젝트에서 애플 로그인을 맡아서 글을 이것저것 찾아보았다. 근데... 진짜 처음볼 때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못 알아들었었다. 소셜 로그인 자체가 처음이어서 감도 안 잡혔고 외계어 그 자체여서 머리속에서 계속 튕겨냈다. 다들 구현 방법이 조금씩 다르기도 해서 더 헷갈렸던 것 같다. 그래도 글을 계속 읽다보니 좀 이해가 되고 흐름도 알게되었다. 참조 쪽으로 가면, 내가 참고한 글들에서 어느 부분을 중심으로 보았는지를 적어놓았으니 좀 도움이 될 것이다! 흐름 위 사진의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면 된다. 내가 진행한 프로젝트에서는 프론트 쪽에서 `Authorization code`를 전달하기로 하여 해당 부분의 코드는 작성하지 않았다. 백엔드에서는 프론트에서 받은 `Authorization code`을 이용해 ..
웹 계층에 서블릿(Servlet) API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모듈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편리하게 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. 서블릿(Servlet)자바로 웹을 할 수 있는 기술, 자체도 Java 파일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특정 규약에 맞춰 Java 코드로 작성하는 클래스 파일아파치 톰캣은 이러한 서블릿들이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블릿 컨테니어 중 하나이다.Spring MVC 내부에서는 서블릿을 기반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동작하며, 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아파치 톰캣이 내장되어 있다. Servlet일반적으로 웹서버는 정적인 페이지만을 제공한다. 그렇기 때문에 동적인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서버는 다른 곳에 도움을 요청하여 동적인 페이지를 작성해야 한다..